만석신문은.. | 자유게시판 | 기차길옆작은학교 | 인형극단 칙칙폭폭
 
   
 
    TODAY is 2023-06-07 (수) TIME is 20:43
 
Total 12
 
공동체 “노동3권 가진 공무원노조 만들 것
동구공직협 추인호회장 지난 99년 1월부터 공무원직장협의회(이하 공직협)설립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6급이하 공무원들이 결성한 공직협은 전국적으로 총340개에 이른다.(가입공무…
mansuknews | 02-21 | view : 3975 | 21년전
 
 
공동체 마을사람들 하나둘씩 만석동 떠나
여객선이 들어오던 만석부두 선착장(88년도 사진 왼쪽), 81년에찍은 만석동 43번지 모습. 오른쪽 위에 관제소 건물이 보인다. 만석동의 80년대는 동네모습의 변화가 가장 적은 시기였던…
mansuknews | 01-18 | view : 4734 | 21년전
 
 
공동체 <font size=3>낡은 트럭, 길거리 포장마차지…
나씨 아주머니는 단속을 피해 지난 94년 동일방직 뒤편으로 왔다. 추운 겨울 길을 걷다보면 오뎅, 떡볶이, 붕어빵등을 파는 포장마차를 볼수 있다. 누구나 포장마차에 들어가 오뎅국을 …
mansuknews | 01-18 | view : 4141 | 21년전
 
 
공동체 골목길엔 땔나무가 널려져있고 </br>대성…
이번 '예전만석동'에서는 1970년대 후반(1975~1980) 만석동의 모습을 동네분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그 때를 살아가는 현우(초등학교 6학년)와 박재구씨(40대 가장)라는 인물을 통해 이야기 하려…
mansuknews | 10-25 | view : 4860 | 21년전
 
 
공동체 “우리 손으로 되찾은 노조 빼앗길 수 없다”
1978년 2월21일 새벽 5시 50분, 동일방직 노조사무실에서 노조 대의원 선출을 준비하던 여공들은 회사측 남자노동자들로부터 '똥물세례'를 받았다. "10여명의 여공들이 똥물을 뒤집어쓰고 있…
mansuknews | 09-26 | view : 3547 | 21년전
 
 
공동체 70년대초, 인구 급격히 늘어나
70년대는 만석동으로 들어와 사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대부분 가족단위로 만석동으로 들어오던 60년대와 달리, 70년대에는 일자리를 얻기 위해 단신으로 올라온 사람들이 많았다는 것이다. …
mansuknews | 08-21 | view : 5732 | 21년전
 
 
공동체 피난민과 이농민, 일터 안심 나누며 살아
작가 현덕은 소설 ‘남생이’에서 1930년대의 만석동을 '호두형으로 조그만 항구와 한쪽끝을 향해 머리를 들고 앉은 언덕, 물가 밋밋한 비탈을 감아 내리며 거적문 토담집이 악착스럽게 닥…
mansuknews | 07-10 | view : 4224 | 21년전
 
 
공동체 우리는 반드시 이겨야 합니다
산곡동 성당에서 농성 중인 대우자동차노동조합원(이하 조합원)들을 찾아가며 내내 마음이 무거웠다. 이틀 전(4월 10일) 해고노동자들과 경찰의 충돌로 많은 노동자들이 다쳤다는 소식을 들…
mansuknews | 05-03 | view : 3368 | 22년전
 
 
공동체 주민 위한 '복지시설'로 거듭나야
만석동에는 '복지'를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주민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만석동에 있는 유일한 복지시설인 화도종합복지회관(이하 화도복지회관)은 하는 일이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이번 …
mansuknews | 04-09 | view : 3831 | 22년전
 
 
공동체 보라매는 세상을 향해 열려있어요
"아이들이 참 밝네요." 보라매보육원(원장 우원근, 동구 화수1동 140번지)에 찾아와 아이들을 만나본 사람들은 대부분 이렇게 말한다. 사람들이 그렇게 말하는 데에는 두가지 이유가 있다. …
mansuknews | 03-16 | view : 3845 | 22년전
 
 
공동체 사라진 의원들은 무얼하고 있을까
지난 2000년 12월 13일, 동구의회에서는 예산심의 특별위원회가 열렸다. 아침일찍 찾아간 동구청은 알뜰시장의 강제철거 후 노점상인들의 항의시위에 대비해, 정문을 닫은채 차량을 통제하…
mansuknews | 03-09 | view : 3737 | 22년전
 
 
공동체 공동체는 마음으로 만들어 가야지요...
"생태계의 생물들이 아름다운 이유는 자신들의 목숨을 기꺼이 내놓기 때문입니다. 볍씨 하나는 300개의 볍씨를 만들어 내지만 볍씨는 그중 하나만이 자신을 이어주기를 바랍니다. 나머지의 …
mansuknews | 01-15 | view : 4202 | 22년전